728x90
SMALL
네트워크 이중화(Network Redundancy)는 시스템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입니다. 리눅스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Bonding하여 물리적 네트워크 장애 시에도 통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Bonding 설정 절차와 아키텍처 예시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네트워크 Bonding 설정 절차
1. Bonding 모듈 로드
먼저 Bonding 모듈을 로드해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Bonding 모듈을 활성화합니다.
modprobe bonding
2. Bonding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 작성
Bonding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bond0 파일을 작성합니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bond0
파일 내용 예시:
DEVICE=bond0
IPADDR=192.168.1.100
NETMASK=255.255.255.0
GATEWAY=192.168.1.1
ONBOOT=yes
BOOTPROTO=none
BONDING_OPTS="mode=1 miimon=100"
- mode=1: Active-Backup 모드로 한 NIC가 장애 시 다른 NIC로 트래픽을 전환합니다.
- miimon=100: 100ms마다 NIC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3. 물리 NIC 설정 파일 작성
Bonding에 포함될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을 작성합니다. 각 물리 NIC 설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eth0 설정: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 내용:
DEVICE=eth0
ONBOOT=yes
MASTER=bond0
SLAVE=yes
BOOTPROTO=none
eth1 설정: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1
파일 내용:
DEVICE=eth1
ONBOOT=yes
MASTER=bond0
SLAVE=yes
BOOTPROTO=none
4.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설정을 적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5. 설정 확인
설정이 올바르게 적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cat /proc/net/bonding/bond0
출력 결과에 Bonding 모드와 활성화된 슬레이브 인터페이스 정보가 표시됩니다.
- Bonding 모드: Bonding 장치가 사용하는 동작 모드(예: mode=1은 Active-Backup 모드).
- 활성화된 슬레이브 인터페이스: 현재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
- 슬레이브 상태: 각 인터페이스의 상태(예: Active, Standby).
- 링크 상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
네트워크 Bonding 아키텍처
아키텍처 1: 단일 스위치 구성
+-------------------------+
| Switch 1 |
+-------------------------+
| |
+---------+ +---------+
| NIC1 | | NIC2 |
| (eth0) | | (eth1) |
+---------+ +---------+
| |
+-------------------------+
| Linux Server |
+-------------------------+
- 구성 설명: 두 NIC가 동일한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한 NIC가 장애 시 다른 NIC로 트래픽이 자동 전환됩니다.
아키텍처 2: 다중 스위치 구성
+----------------+ +----------------+
| Switch 1 | | Switch 2 |
+----------------+ +----------------+
| |
+---------+ +---------+
| NIC1 | | NIC2 |
| (eth0) | | (eth1) |
+---------+ +---------+
| |
+-----------------------------+
| Linux Server |
+-----------------------------+
- 구성 설명: 각 NIC가 다른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 장애에도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됩니다. 이중화를 더욱 강화한 구성입니다.
LIST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에서 IPS와 IDS 비교 및 설정 방법 (0) | 2025.02.11 |
---|---|
DNS 작동 원리 (0) | 2025.02.06 |
iperf를 사용한 네트워크 테스트 - 병목 현상 유발 시나리오 (0) | 2025.01.25 |
[Network] Overlay와 Underlay의 개념 (0) | 2024.12.23 |
WireShark 사용법 (0) | 2024.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