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 Blue/Green Rolling 무중단 배포 실습 (초간단)
·
🔹 DevOps
Rocky Linux 8.10 기반 실습용 가상 서버 대상3대 서버 (LB / APP-BLUE / APP-GREEN) 활용Nginx upstream의 weight 설정을 통한 단계적 트래픽 전환 실습1. 서버 구성역할IP 주소설명lb-server192.168.56.101Nginx 로드밸런서app-blue192.168.56.102기존 서비스 버전 (v1)app-green192.168.56.104신규 서비스 버전 (v2)Client Server192.168.56.103curl request 날리는 서버2. 모든 서버: Nginx 설치sudo dnf install -y nginxsudo systemctl enable --now nginx3. APP 서버 HTML 페이지 설정▶ app-blue (192.168...
AWS와 Terraform의 관계 vs Kubernetes와 Helm의 관계
·
🔹 DevOps
✅ 비교: AWS & Terraform vs. Kubernetes & Helm비교 항목AWS ↔ TerraformKubernetes ↔ Helm주 역할클라우드 인프라 제공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설정 방식AWS 콘솔, CLI, SDK 사용kubectl, YAML 설정자동화 도구Terraform으로 인프라 코드 관리Helm으로 애플리케이션 배포템플릿 관리Terraform .tf 파일Helm Chart (YAML 템플릿)버전 관리Terraform State 관리Helm Chart 버전 관리✅ 공통점Infrastructure as Code (IaC)Terraform은 AWS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Helm은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을 코드로 관리버전 및 상태 관리Terraform은 state 파일을 활용해 인프라 상태..
OpenSearch 또는 ECK 기반의 로깅 시스템 구축 및 고도화
·
🔹 DevOps
1. 개요OpenSearch: Elasticsearch의 오픈소스 포크로, Kibana 대신 OpenSearch Dashboards 사용.ECK (Elastic Cloud on Kubernetes): Kubernetes 환경에서 Elasticsearch를 운영할 수 있도록 Elastic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 솔루션.2. OpenSearch 기반 로깅 시스템 구축2.1 필수 패키지 설치# 패키지 업데이트sudo yum update -y# Docker 설치sudo yum install -y yum-utils device-mapper-persistent-data lvm2sudo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
GitOps 작동 방식 (간단한 흐름)
·
🔹 DevOps
✅ GitOps 작동 방식 (간단한 흐름)1️⃣ 개발자가 Git 리포지토리에 변경 사항 Push2️⃣ GitHub Actions가 실행되어 ECR에 새 이미지 Push3️⃣ ArgoCD가 변경 사항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배포4️⃣ EKS에서 새로운 버전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됨
EKS / GitHub Actions & ArgoCD를 활용 CI/CD 배포 파이프라인 구축 및 운영 (전체 과정)
·
🔹 DevOps
1. 개요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과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 CD)가 필수적인 요소다.특히, GitOps 방식은 Git을 단일 소스로 삼아 배포를 자동화하는 접근법으로, ArgoCD와 GitHub Actions를 활용하면 EKS(AWS Elastic Kubernetes Service) 환경에서 강력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본 글에서는 EKS 생성 과정, ArgoCD 생성 과정, GitOps 기반의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하고,구체적인 코드 예제를 포함하여 실무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다룬다.2. 사용 기술 및 아키텍처사용 기술EKS (Elastic Kubernetes Se..
AWS 3 Tier architecture / terraform 정리 (미완)
·
🔹 DevOps
link: https://github.com/rookieboba/Terraform-3tier-architecture-AWS AWS 아키텍처 다이어그램3 tier architecture (draw.io 이용)AWS CLI로 AWS 아키텍처 terraform 띄우기 1️⃣ CloudFormation Stack에서 생성된 리소스 목록 가져오기aws cloudformation describe-stack-resources --stack-name cf.stack더보기예시 결과{ "StackResources": [ { "StackName": "cf.stack", "StackId": "arn:aws:cloudformation:us-east-1:1234567890..
Ansible 사용 Ceph 설치
·
🔹 DevOps
Storage Server 3대 Ceph Cluster 및 패키지 / 파일 시스템 생성을  Ansible 이용 자동화📌 실행 전에 확인할 것✅ 1. SSH Key 기반 인증 확인Ansible이 SSH를 통해 각 노드에 접속해야 하므로, SSH 비밀번호 없이 접속 가능한지 확인root 사용자로 접속하려면, 각 노드에 SSH Key 인증을 설정해야 함.ssh-copy-id root@192.168.98.111 ssh-copy-id root@192.168.98.112 ssh-copy-id root@192.168.98.113✅ 2. Ansible 연결 테스트Ansible이 정상적으로 연결되는지 ping 확인ansible -i hosts.ini ceph_nodes -m ping -bini 파일 생성hosts.in..
Terraform 주요 명령어 정리
·
🔹 DevOps
🌍 Terraform 주요 명령어 정리Terraform은 Infrastructure as Code(IaC)를 구현하는 도구클라우드 환경(AWS, GCP, Azure 등)의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1️⃣ 기본 명령어 (초기 설정 및 초기화) 명령어설명terraform versionTerraform 버전 확인terraform init현재 디렉터리에서 Terraform 프로젝트를 초기화 (백엔드 및 플러그인 다운로드)terraform validateTerraform 코드 문법 검사 (유효성 검증)terraform fmtTerraform 코드 자동 정렬 및 스타일 정리2️⃣ 실행 계획 및 적용명령어설명terraform plan실행 전에 어떤 변경 사항이 발생할지 미리 확인terraform applyTerra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