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 (High Availability, 고가용성)

2024. 12. 12. 14:44·🐳 Infra/System
728x90
SMALL

1. HA (High Availability, 고가용성)

  • 의미:
    • 서비스나 시스템이 최대한 끊김 없이 계속 동작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개념.
    •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를 중단 없이 제공하기 위해 여러 기술과 아키텍처를 활용합니다.
  • 목적:
    • 시스템의 가동 시간(Uptime) 극대화.
    • 장애나 다운타임을 최소화.
  • 구성 요소 및 기술:
    • 이중화 (Redundancy):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을 복제하여 장애 시 대체 자원을 제공.
    •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여러 서버에 트래픽을 분산해 과부하를 방지.
    • Failover: 하나의 시스템이 장애를 일으키면 자동으로 다른 시스템으로 전환.
  • 예시:
    • 클러스터링, 데이터베이스 복제(MySQL Master-Slave), 스토리지 이중화(Ceph, RAID).
  • Ansible Playbook 이용 두 대의 서버 이중화 설정
LIST

'🐳 Infra >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Isk 용량 확보 팁  (0) 2024.12.19
RAM 부족 시 대처 방안  (1) 2024.12.19
[Linux] SWAP 메모리 정의 및 사용 상황  (0) 2024.12.19
docker 컨테이너 주요 명령어  (0) 2024.03.28
Microsoft Active Directory  (2) 2024.03.22
'🐳 Infra/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RAM 부족 시 대처 방안
  • [Linux] SWAP 메모리 정의 및 사용 상황
  • docker 컨테이너 주요 명령어
  • Microsoft Active Directory
terranbin
terranbin
Studying Computer Science
  • terranbin
    Engineer
    terranbin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29)
      • ☁️Cloud (42)
        • AWS (38)
        • MS Azure (4)
      • 🐳 Infra (1)
        • System (12)
        • DRBD (3)
      • 🔌Network (8)
      • 🔹Storage (8)
      • 🔹Kubernetes (15)
      • 🔹 DevOps (8)
      • 🔹Study (4)
      • 🔹Install (6)
      • 🔹ETC (2)
      • 🔹PostMan (6)
      • 🔹Openstack (3)
      • 🔹RcloneView (6)
      • 🔹Test (0)
      • 🔹Debug (2)
      • 🔹DBMS (2)
  • 블로그 메뉴

    • 홈
  • 링크

    • sungbin
    • Github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EBS
    설치
    distributed load testing
    kubernetes
    EC2
    OpenStack
    Google Drive
    network
    AWS
    postman
    S3
    SAA
    rocky8
    ceph
    kubectl
    rcloneview
    rocky9
    terraform
    centos7
    aws dlt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terranbin
HA (High Availability, 고가용성)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