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VLAN과 VXLAN의 개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 VLAN이란? (Virtual LAN)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에서 논리적으로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기술입니다.
📌 VLAN의 특징
✔ 레이어 2 (L2)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며, 같은 VLAN에 속한 장비끼리는 서로 통신 가능
✔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나누어 보안 및 트래픽 관리 최적화
✔ 802.1Q 태깅 방식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구분
📌 VLAN의 장점
✅ 네트워크 분리: 같은 스위치 내에서도 서로 다른 VLAN을 구성하여 보안 강화
✅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감소: 네트워크 혼잡도를 줄여 성능 향상
✅ IP 서브넷과 연동 가능: VLAN과 서브넷을 매칭하여 네트워크 설계를 단순화
📌 VLAN 사용 예시
💡 기업 내부에서 관리팀(10.10.1.0/24), 개발팀(10.10.2.0/24), 보안팀(10.10.3.0/24)을 각각 VLAN 10, 20, 30으로 나누어 네트워크를 분리
📌 확인 예시
🔹 VXLAN이란? (Virtual eXtensible LAN)
VXLAN(Virtual eXtensible LAN)은 VLAN의 확장 버전으로, 레이어 2 네트워크를 레이어 3(IP 기반)에서 가상화하는 기술입니다.
즉, 물리적인 네트워크 제약을 넘어서 논리적인 네트워크 확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 VXLAN의 특징
✔ 레이어 3 (L3)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며, UDP 기반 터널링 기법 사용
✔ VLAN이 최대 4096개까지만 지원하는 반면, VXLAN은 약 1600만 개(16,777,216)의 네트워크 분리 가능
✔ VTEP (VXLAN Tunnel Endpoint) 장비를 통해 네트워크를 연결
📌 VXLAN의 장점
✅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확장성: VLAN의 개수 제한을 극복하여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
✅ 멀티 테넌트 지원: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 각 고객(테넌트) 별로 네트워크를 분리 가능
✅ IP 네트워크 기반 구성 가능: 기존 VLAN은 L2 스위칭 기반이지만, VXLAN은 L3 라우팅을 활용할 수 있어 더욱 유연함
📌 VXLAN 사용 예시
💡 AWS, Azure, GCP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테넌트 별로 격리된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할 때 VXLAN을 활용
🔹 VLAN vs VXLAN 비교 정리
항목 | VLAN | VXLAN |
작동 계층 | L2 (데이터 링크 계층) | L3 (네트워크 계층) |
트래픽 태깅 방식 | 802.1Q (VLAN 태그) | VXLAN 헤더 (UDP 기반) |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개수 | 최대 4096개 | 약 1600만 개 (16,777,216) |
트래픽 전달 방식 | 스위칭 기반 | 라우팅 및 터널링 기반 |
멀티 테넌트 지원 | 제한적 | 강력한 지원 |
사용 사례 | 사내 네트워크 분리 |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확장 |
🔹 VLAN과 VXLAN, 언제 사용해야 할까?
✔ 소규모 네트워크 → VLAN 사용 (예: 기업 내부 네트워크 분리)
✔ 대규모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환경 → VXLAN 사용 (예: AWS VPC, OpenStack Neutron)
✔ 멀티 테넌트 환경 필요 시 → VXLAN 필수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1) | 2025.02.13 |
---|---|
CentOS 7에서 IPS와 IDS 비교 및 설정 방법 (0) | 2025.02.11 |
DNS 작동 원리 (0) | 2025.02.06 |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Bonding 설정하는 방법 (0) | 2025.02.05 |
iperf를 사용한 네트워크 테스트 - 병목 현상 유발 시나리오 (0) | 2025.01.25 |